본문 바로가기

자기자본비율

(2)
유동비율, 자기자본비율 관리 방법 안녕하세요 ​ 많은 기업에서는 정부부처나 지자체에서는 진행하는 사업에 참여를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계십니다. ​ ​ 그 일환으로 사업수행능력 보유하기 위해 사업참여 경력 및 경력직원 채용 등을 진행하십니다. ​ ​ 하지만, 수행능력을 보유하더라도 기업의 재무건전성이 뒷받침 되지 않으면 선정이 어렵습니다. ​ ​ 사업참여 시 기업의 신용등급을 확인하는데 재무건전성은 기업신용등급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 그리고 몇가지 지표는 참여제한 요인에 활용하거나 기업평가에 활용하기도 합니다. (사업에 따라 배점 등 기준이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업수행능력 평가 시 자기자본비율/유동비율 배점표 ​ ​ ​ 때문에 기업의 재무건전성 관리는 매우 중요하지만, 해당 부분의 경우 전문성이 필요하여 기업..
쉽게 알려주는 재무제표분석 _ 안정성지표 ​ 안녕하세요 비즈탑 입니다 :) 다들 더위 조심하시구요 ! ​ 오늘은 재무제표분석의 '안정성지표'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할게요 ~ ~ ​ ​ ​ 우선, 안정성지표 란? ​ 기업의 단기지급능력을 의미하는 유동성과 경기변화에 대한 대응능력을 의미하는 안정성을 등을 측정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지표로, 주로 재무상태표의 자산, 부채, 자본간의 관계비율로 계산합니다. ​ ​ 금융위기 이전 성장성지표를 강조했다면, 금융위기 이후 안정성지표를 강조하는 추세입니다. ​ ​ ​ 대표적인 안정성비율은 총 9가지 인데요 하나 씩 천천히 살펴 보자구요 ! :D ​ ​ 1. 자기자본비율 : 총자산 중 자기자본이 차지하는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로 타인자본에 의지하지 않고 자기자본에 의하여 자금을 조달하고 있는 정도를 측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