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자본비율 (2) 썸네일형 리스트형 유동비율, 자기자본비율 관리 방법 안녕하세요 많은 기업에서는 정부부처나 지자체에서는 진행하는 사업에 참여를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계십니다. 그 일환으로 사업수행능력 보유하기 위해 사업참여 경력 및 경력직원 채용 등을 진행하십니다. 하지만, 수행능력을 보유하더라도 기업의 재무건전성이 뒷받침 되지 않으면 선정이 어렵습니다. 사업참여 시 기업의 신용등급을 확인하는데 재무건전성은 기업신용등급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몇가지 지표는 참여제한 요인에 활용하거나 기업평가에 활용하기도 합니다. (사업에 따라 배점 등 기준이 다를 수 있습니다.) 사업수행능력 평가 시 자기자본비율/유동비율 배점표 때문에 기업의 재무건전성 관리는 매우 중요하지만, 해당 부분의 경우 전문성이 필요하여 기업.. 쉽게 알려주는 재무제표분석 _ 안정성지표 안녕하세요 비즈탑 입니다 :) 다들 더위 조심하시구요 ! 오늘은 재무제표분석의 '안정성지표'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할게요 ~ ~ 우선, 안정성지표 란? 기업의 단기지급능력을 의미하는 유동성과 경기변화에 대한 대응능력을 의미하는 안정성을 등을 측정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지표로, 주로 재무상태표의 자산, 부채, 자본간의 관계비율로 계산합니다. 금융위기 이전 성장성지표를 강조했다면, 금융위기 이후 안정성지표를 강조하는 추세입니다. 대표적인 안정성비율은 총 9가지 인데요 하나 씩 천천히 살펴 보자구요 ! :D 1. 자기자본비율 : 총자산 중 자기자본이 차지하는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로 타인자본에 의지하지 않고 자기자본에 의하여 자금을 조달하고 있는 정도를 측정..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