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쉽게 알려주는 재무제표분석 _ 안정성지표

안녕하세요 비즈탑 입니다 :)

다들 더위 조심하시구요 !

오늘은 재무제표분석의 '안정성지표'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할게요 ~ ~

우선, 안정성지표 란?

기업의 단기지급능력을 의미하는 유동성과 경기변화에 대한 대응능력을 의미하는 안정성을 등을 측정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지표로, 주로 재무상태표의 자산, 부채, 자본간의 관계비율로 계산합니다.

금융위기 이전 성장성지표를 강조했다면,

금융위기 이후 안정성지표를 강조하는 추세입니다.

대표적인 안정성비율은 총 9가지 인데요

하나 씩 천천히 살펴 보자구요 ! :D

1. 자기자본비율 :

총자산 중 자기자본이 차지하는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로 타인자본에 의지하지 않고 자기자본에 의하여 자금을 조달하고 있는 정도를 측정하는 재무비율입니다.(높을수록양호)

※ 자기자본비율 = 자기자본 / 총자산 * 100

2. 유동비율 :

1년이내 현금화할 수 있는 자산으로 1년이내에 상환하여하는 부채를 상환할 수 있는가를 측정하는 재무비율로 기업의 단기지급능력을 측정하는 대표적인 측정수단입니다.(높을수록 양호)

※ 유동비율 = 유동자산 / 유동부채 * 100

3. 당좌비율 :

유동자산보다 현금화가 용의한 당좌자산과 유동부채간의 관계를 비교함으로서 보다 엄격하게 기업의 단기지급능력을 측정하는 재무비율입니다.(100% 이상시 양호)

※ 당좌비율 = 당좌자산 / 유동부채 * 100

4. 비유동비율 :

자기자본 중 비유동자산에 투입되어 있는 비율을 측정하는 지표입니다. (낮을수록 양호, 단, 100%미만시 비유동자산을 차입등에 의존하지 않고 전액 자기자본으로 투자할 수 있어 현금흐름에 부담이 없다는 것을 의미)

※ 비유동비율 = 비유동자산 / 자기자본 * 100

5. 부채비율 :

자기자본과 부채의 비율을 나타내는 비율로서 재무적 안정성을 측정하는 대표적인 재무비율입니다.(낮을수록양호)

※ 부채비율 = 부채 / 자기자본 * 100

6. 차입금의존도 :

기업이 자금조달 과정에서의 금융기관 의존도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낮을수록 양호)

※ 차입금의존도 = 차입금 / 총자산 * 100

7. 순운전자본 대 총자본 :

단기적 지급능력을 평가하는 순운전자본과 총자산규모를 비교하는 지표로 기업의 단기적 지급능력을 측정하는 지표입니다.(높을수록 양호)

※ 순운전자본 대 총자본 = (유동자산 - 유동부채) / 총자산 * 100

8. 매출채권 대 매입채무 :

매출채권과 매입채무의 비율을 계산하는 것으로 기업의 자금관리지표로 이용되고 있습니다.(높을수록 유동비율이 높아지나, 기업에서는 미회수채권의 증가로 인하여 자금부담이 가중되고 있다고 해석이 가능)

※ 매출채권 대 매입채무 = 매출채권 / 매입채무 * 100

9. 차입금 대 매출액 :

매출액으로 차입금을 상환할 수 있는지를 평가하는 지표입니다.(낮을수록 양호)

※ 차입금 대 매출액 = ((기초 차입금 + 기말 차입금) / 2) / 매출액 * 100

안정성지표는 주로 재무상태표의 계상과목으로 계산됩니다.

재무상태표 항목은 이월계정으로 장기간 금액적 특성을 유지하기 때문에

해석시 주의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재무지표분석 시 특정 재무비율이 아닌

전체적인 모습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이렇게 안정성지표에 대한 설명이 끝났습니다 !

모두 이해하셨나요 ? 다 이해 하셨으리라 생각하고

저는 이만 물러가보겠습니다 :)

혹시나 더 궁금하신 사항이 있으시다면

(꼭 저희 비즈탑과 관련하지 않아도 좋아요 ^^)

아래의 방법 중 편하신 방법으로 연락 주세요 !

감사합니다 :D

 

 

 

web : https://www.biztop.co.kr / E-mail : help@biztop.co.kr

Kakao : @비즈탑 / Tel : 02-945-0904 (무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