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비즈탑 입니다 :)
여러분 독감이 또 유행이라고 하네요 모두 조심하세요 !
오늘은 이어서 '재무적 요소' 에 대해 설명드리려고 해요 ~
저번 시간에는 '경영관리 요소' 에 대해 알아보았었는데요 :)
기억이 잘 나지 않는다 ~
아래의 링크를 클릭 클릭 !
https://blog.naver.com/biztopinfo/221523239359
신용평가의 구성요소 ? 간단해요 ! - BizTop
안녕하세요 BizTop 입니다.저번엔 평가절차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오늘은 '신용평가의 구성요소...
blog.naver.com
우선, 재무적 요소의 평가방법은 크게 네 가지로 볼 수 있습니다.
성장성 / 수익성 / 재무구조 안정성 / 현금흐름 적정성
* 재무요소의 평가는 계량화된 회계적 정보를 바탕으로 이루어지므로 상기의 비계량적 평가요소들에 비해
객관적 분석을 통한 타당성 확보가 용이하여 신용등급 산정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침
1. 성장성 : 매출액, 자산규모, 추세분석, 산업, 동업종과의 연계
2. 수익성 : 매출대비 수익성, 투자하본 대비 수익성, 추세분석, 정태분석
3. 재무구조 안정성 : 레버리지 분석, 자기자본 구조, 자산의 질
4. 현금흐름 적정성 : 영업, 투자, 재무활동 현금창출능력, 흑자 도산의 가능성,
지속적 성장기반 구축
재무요소의 평가 대응 방법 에는
우량기업, 부실기업의 재무적 특성 두 가지로 볼 수 있구요 :)
▲ 우량기업 특성
- 안정된 매출실적(일정 매출수준 유지 또는 지속적인 성장)
- 지속적인 이익창출(동종업계 평균 이상의 이익률 유지)
- 적정규모의 레버리지(부채비율 100% 이하, 차입금의존도 20% 이하)
- 안정적인 매출처 확보 및 채권회수 원활, 경쟁력 우수
▼ 부실기업 특성
- 매출액 감소(-30%이상), 영업손실 발생 및 지속
- 매출채권, 재고자산 등의 급격한 증가
- 과도한 레버리지(부채비율 300% 이상, 차입금의존도 50% 이상)
- 영업 이익보다 이자비용이 더 큰 경우(이자보상배율 1 미만)
- 매출감소 & 영업손실 & 차입금증가
* 결산 시 주요 점검사항 *
1. 합리적인 재무현황 예측자료
➢ 신용평가 시 향후 기업의 재무현황이 예측 가능한 경우 평가에
긍정적으로 반영
➢ 이는 내년 실적 및 재무현황 등에 대한 예측이 가능한 경우 평가대상 기업이 안정적이라고 판단하기 때문
→ 안정적인 매출유지 또는 일정 성장률 지속
→ 일정수준 이상의 안정적인 수익성 유지
→ 원리금 상환능력 범위내의 차입금규모
2. 성장성
➢ 매출실적을 일정규모수준으로 유지하거나 성장세를 보이는 패턴이 평가 시 유리
➢ 매출급증 또는 급락 패턴은 영업활동이 불안정하다고 판단(특히 급증 뒤 급락일 경우)
➢ 결산기에 임박하여 매출인식시기를 일부 조정할 수 있는 경우
(세금계산서발행을 차기로 이월 or 당기에 선 발행 등) 목표매출액을 설정하고 그에 맞추어 매출인식여부를 결정하는 과정이 필요
➢ 영업이익의 증가 여부 또한 성장성 점수에 중요하게 반영
3. 수익성
➢ 세무적 관점(이익규모 최소화를 통한 절세, 업종평균 수익성 유지를 통한 세무 조사 방지)과 신용평가관점(안정적인 수익성 시현) 중 선택 필요
➢ 업종평균이상의 안정적인 수익성을 유지하는 것이 평가시 유리
➢ 수익성의 경우 매출액영업이익률과 매출액순이익률이 평가시 주된 검토항목이며 특히, 경상적인 이익창출력을 나타내는 매출액영업이 익률을 중요하게 평가
➢ 이익규모증대를 위해 일부 비용항목 누락 및 빈번한 전기오류수정손실 의 자본계정반영은 재무제표신뢰성의 악화를 가져오는 바, 평가 시에 는 도리어 불리하게 작용
4. 재무안정성
➢ 대표적인 재무안정성 지표인 부채비율과 차입금의존도는 낮을수록 신용평가에 유리하게 작용
➢ 특히, 과도한 단기차입금 의존은 신용평가등급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침.
➢ 단기차입금 보다는 장기차입금이 신용평가에 유리하게 반영되므로 단기차입금 비중이 클 경우 장기차입금으로 전환 노력이 필요하며, 장기저리의 정책자금은 차입금의 부정적인 영향을 최소화 할 수 있음
➢ 신용평가 시에는 평가 시점과 이전 3개월간 금융기관 여신잔액 추이를 확인하는 등 최근 여신잔액을 면밀히 검토하고 결산기말 시점의 차입금 잔액과 비교하여 재무안정성 반영
➢ 현금성자산(현금+예금) 규모가 지나치게 부족할 경우 재무융통성이 낮은 수준으로 판단되어 평가에 불리하게 작용 될 가능성 이 있으므로 결산기말 현금성자산 규모를 일정 수준 유지 (당사 공공평가업체 현금성자산/매출액 평균비율 10%)
5. 가지급금
➢ 가지급금: 기업 외부로의 자금지출은 있었지만 금액이 불확실하고 계정과목이 확정되지 않아 일시적으로설정되는 가계정
※ 일반적인 발생사유
→ 대표이사 및 주주에 대한 대여 → 자본금 가장납입 → 대금결제 후 세금계산서 등 증빙 미수취 (대금결제 후 관련채무 미 상계) → 사용내역 증빙불비 지출액(리베이트, 접대비 등) → 가공매출 및 경비누락
최대한 쉽게 설명드리려 간추리고 정리하고 작성했지만
이렇게나 길어져버렸네요 T.T
그래도 여러분 모두 이해하셨으리라 생각합니다 :D
다음시간에는 '사업운영 요소' 로 찾아뵐게요 !
더 궁금하신 사항이 있다면 댓글이나 쪽지 편하신 방법으로
언제든 연락주세요 ^^*
비즈탑은 항상 여러분과 더 가까워지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 지금 무료로 여러분의 기업신용등급을 확인해보세요
▼ ▼ ▼ ▼
비즈탑 방문하기
https://www.biztop.co.kr/v1/index.php
H.P : https://www.biztop.co.kr / E-mail : help@biztop.co.kr
Kakao : @비즈탑 / Tel : 02-945-0904 (무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