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비즈탑 입니다 :)
오늘부터 장마가 시작이라고 하네요ㅜㅜ
비로 인한 피해가 없도록 미리 준비하시길 바래요 !!
오늘은 재무제표분석의 '생산성지표'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할게요 ~ ~
우선, 생산성지표 란?
기업의 효율성을 측정하는 지표로
종업원 1인당 얼마나 매출을 오릴고 있는지
부가가치는 어떻게 되는지, 투자효율을 얼마나되는지 등의
기업 활동의 성과 및 효율성을 측정하고
개별 생산요소의 기여도 및 성과배분의 합리성여부를 규명하기 위한 비율입니다.
대표적인 생산성비율은 총 3가지 인데요
하나 씩 천천히 살펴 보자구요 ! :D
1. 부가가치율 :
매출액 중 생산활동에 참여한 생산요소에 귀속되는 소득의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높을수록양호)
※ 총자산회전율 = 부가가치액 / 매출액 * 100
2. 인건비 대 매출액 :
1인당 매출액에 대하여 인건비의 소요 정도를 표시하는 비율입니다.(낮을수록양호)
※ 매출채권회전율 = 인건비 / 매출액 * 100
3. 총자본 투자효율 :
기업에 투입된 총 자본이 1년 동안에 어느 정도의 부가가치를 산출하였는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높을수록양호)
※ 재고자산회전율 = 부가가치액 / 총 자본(평균) * 100
부가가치는
영업잉여(영업손익+대손상각비-금융비용), 인건비, 금융비용, 조세공과, 감가상각비 등으로 구성되며,
손익계산서 및 제조원가명세서에 나타난 해당 항목들을 합산해 산출합니다.
생산성지표를 활용한다면
기업을 운영하는 데 있어서 성과 및 효율을
그리고 생산요소의 기여도를 판단할 수 있습니다.
만약,
영위업종보다 낮거나 활동성을 개선하고 싶으시다면
기업의 생선성을 정밀 분석하여 기업의 구조개선을 진행하시길 추천드립니다.
이렇게 생산성지표에 대한 설명이 끝났습니다 !
모두 이해하셨나요 ?
혹시나 더 궁금하신 사항이 있으시다면
아래의 방법 중 편하신 방법으로 연락 주세요 !
감사합니다 :D